본문 바로가기

CERTIFICATE

[정보처리기사] 실기 약술형 정리 ③

애자일 개발 방법론

  • 사람중심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법이다.

유스 케이스 다이어그램

  • 시스템이 제공하고 있는 기능과 외부 요소를 유스 케이스, 액터, 시스템 등을 활용해 사용자의 관점에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.

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
  • 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기반한 15홉 제한의 특징이 있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이다.

랜섬웨어

  • 파일을 암호화하여 피해자에게 복호화를 위한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이다.

SQL 힌트

  • SQL 문에 액세스 경로 및 조인 순서 등의 정보를 사전에 주어서 SQL 문 실행에 빠른 결과를 가져오는 효과를 만드는 기법이다.

방화벽(Firewall)

  • 미리 정의된 보안규칙을 기반으로 외부의 불법침입과 내부에 불법정보유출을 막기 의한 보안 시스템이다.

스레드

  • 프로세스에서 실행 제어만 분리한 실행 단위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흐름의 단위이다.

델파이 기법

  •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 해결 및 미래예측을 위한 방법이다.

객체 지향의 상속

  •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지향 기법

객체 지향의 다형성

  • 프로그래밍 언어의 요소들이 다양한 자료형에 속할 수 있는 성질이다. 구현 방법으로는 오버 로딩, 오버 라이딩,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있다.

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

  •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.

스토리보드

  • ui화면 설계를 위해서 기능에 대한 정의 등 서비스를 위한 대부분의 정보가 수록된 문서이다.

트로이 목마

  •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보이지만 실행하면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.

코드 난독화

  • 역공학을 위한 공격을 막기 위해 프로그래밍의 소스 코드르 알아보기 힘든 형태로 바꾸는 기술이다.

객체 지향 클래스

  •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서드와 변수를 정의하는 틀이다.

DHCP

  • TCP/IP를 통신하기 위해서 DHCP 서버를 활용하여 IP주소 및 설정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다.